320x100
광릉숲까지…재선충에 쓰러지나
감염의심 잣나무 발견…당국, 감염경로조차 몰라
예방 ‘수간주사’ 시기 놓쳐 ‘재선충과의 전쟁’ 역부족
매개충이 성충으로 자라는 5월이 최대 고비 될 듯
"
"
» 27일 오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직원들이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의 자체 시험림에서 재선충병 감염이 확인된 나무의 주변에 있는 나무들을 베어내고 있다. 남양주/연합뉴스
국립수목원이 있는 경기 포천시와 남양주시 일대 광릉숲에서 재선충 감염이 의심되는 잣나무 5그루가 추가로 발견된 가운데, 오는 5월이 재선충 확산 여부를 가를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재선충의 잇따른 ‘게릴라식 공격’에 산림 당국은 아직 명확한 감염 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감염목 전수조사에 나서는 한편, 조사에서 감염목이 누락되면 그 수에 따라 공무원을 징계하기로 하는 등 ‘재선충과의 전쟁’에 나섰다.
산림청의 허경태 산림본부장은 27일 “국립수목원 주변에서 감염목 2그루 외에 추가로 감염 의심목 5그루가 나와, 주변 5㏊에서 벌채와 연구용 시목 채취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염목이 발견된 광릉숲(2200㏊)은 국립수목원(1100㏊)과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소유의 시험림(1100㏊)으로 이뤄져 있고 감염목이 발견된 곳은 국립수목원에서 1.5㎞ 떨어진 시험림이다.
모호한 감염 경로?=잣나무에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 벌레인 북방수염하늘소가 재선충을 옮길 수 있는 거리는 300m밖에 안 되고 태풍 등 바람에 날린다고 해도 3㎞에 불과한데도, 광릉숲에서 감염목이 발견된 것에 산림 당국은 당황해하고 있다. 광릉숲은 경기도에서 가장 최근에 재선충 오염목이 발견된 남양주시와 30여㎞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산림 당국은 ‘인위적 오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가구를 옮길 때 보호대로 쓰는 팰릿의 소재가 잣나무여서, 오염된 잣나무가 팰릿으로 쓰이면서 재선충도 옮겨졌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번에 감염목이 발견된 지역은 인적이 없는 곳이어서 이런 설명도 들어맞지 않는다. 정확한 감염 경로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것이다.
"
"
» 재선충 피해 시·군·구
수간주사 시기도 놓쳐=재선충 예방을 위해 나무에 수간주사를 놓는 적기는 보통 11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여서 지금은 시기를 놓친 상태라는 점도 산림 당국의 고민을 더하고 있다. 5월이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이 성충이 되어 나오는데, 지금 잣나무와 소나무에 수간주사를 해봐야 약효를 거둘 수 없는 상황이다.
산림청 오기표 산림병해충방제팀장은 “항공방제를 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을 잡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 쌍이 한 달에 20여만마리로 불어날 만큼 왕성하게 증식하는 재선충의 확산을 항공방제만으로 막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재선충 대란 오나=이 때문에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가 깨어나는 5월이 재선충 확산의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는 게 산림 당국의 예상이다. 경기도 최형근 농정국장은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가 5월에 유충에서 성충으로 바뀐다”며 “4월3일까지 모든 나무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해 4월 말까지는 완전 소각 처분해야 하는 중대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 15일부터 1만여명을 동원해 전체 시·군에서 감염목 전수조사에 나섰다. 시·군별로 감염목 1·2차 조사 책임자를 정하고 감염목이 조사에서 빠졌다가 나중에 발견되면 2그루 이하는 경고나 주의, 3∼5그루는 견책, 6그루 이상은 감봉 등으로 감염목 수에 따른 징계를 공언하는 등 재선충 확산을 막기 위한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포천 대전/홍용덕 송인걸 기자 ydhong@hani.co.kr
----------------------------------------------------------------------
재선충 한국서 1988년 발병
일, 100년만에 소나무 쑥대밭
우리나라의 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시작됐다. 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로 만든 어류 상자를 통해 선충이 상륙했다거나, 일본원숭이를 수입하면서 우리 바닥에 감염된 솔잎을 깐 게 유입 경로가 됐다는 설이 있을 뿐 경위가 명확하지는 않다.
재선충병이 세계적으로 처음 발생한 곳은 일본으로, 1905년 첫 감염 사례가 보고된 지 100년 만에 홋카이도를 뺀 대부분 산림이 ‘소나무 공동묘지’로 바뀌었다. 일본 산림당국은 해안지대와 공원 등 특수지역을 대상으로 한 방제 활동에 주력하면서 대체 수목으로 재선충병에 강한 리기다소나무 심기를 권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82년 난징 지역에서 재선충병이 발생해 약 8만㏊가 피해를 보았다. 중국 당국은 황산 등 소나무 생태가 우수한 지역의 주변을 ‘무송지역’으로 지정해 벌목함으로써 재선충 확산을 막고 있다. 대만은 1985년 5천㏊의 피해를 입었다.
산림과학원 신상철 산림병해충과장은 “미국,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르투갈, 멕시코 등지에서도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피해가 발생했으나 산림 대부분이 재선충에 저항성이 큰 수종으로 이뤄져 있어 큰 피해는 없었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재선충이란?
재선충 0.6~1㎜ 크기에 실처럼 생겼다. 소나무류인 육송, 해송, 잣나무 등에 침입해 물과 양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파괴해 고사시킨다. 재선충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붙어 이동한다. 매개충은 번데기를 거쳐 5~6월에 성충이 돼 어린 가지와 잎을 갉아먹는다. 재선충은 매개충이 번데기일 때 붙어 있다 성충이 돼 먹이를 먹으면서 나무에 낸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감염의심 잣나무 발견…당국, 감염경로조차 몰라
예방 ‘수간주사’ 시기 놓쳐 ‘재선충과의 전쟁’ 역부족
매개충이 성충으로 자라는 5월이 최대 고비 될 듯
"
» 27일 오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직원들이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의 자체 시험림에서 재선충병 감염이 확인된 나무의 주변에 있는 나무들을 베어내고 있다. 남양주/연합뉴스
국립수목원이 있는 경기 포천시와 남양주시 일대 광릉숲에서 재선충 감염이 의심되는 잣나무 5그루가 추가로 발견된 가운데, 오는 5월이 재선충 확산 여부를 가를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재선충의 잇따른 ‘게릴라식 공격’에 산림 당국은 아직 명확한 감염 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감염목 전수조사에 나서는 한편, 조사에서 감염목이 누락되면 그 수에 따라 공무원을 징계하기로 하는 등 ‘재선충과의 전쟁’에 나섰다.
산림청의 허경태 산림본부장은 27일 “국립수목원 주변에서 감염목 2그루 외에 추가로 감염 의심목 5그루가 나와, 주변 5㏊에서 벌채와 연구용 시목 채취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감염목이 발견된 광릉숲(2200㏊)은 국립수목원(1100㏊)과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소유의 시험림(1100㏊)으로 이뤄져 있고 감염목이 발견된 곳은 국립수목원에서 1.5㎞ 떨어진 시험림이다.
모호한 감염 경로?=잣나무에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 벌레인 북방수염하늘소가 재선충을 옮길 수 있는 거리는 300m밖에 안 되고 태풍 등 바람에 날린다고 해도 3㎞에 불과한데도, 광릉숲에서 감염목이 발견된 것에 산림 당국은 당황해하고 있다. 광릉숲은 경기도에서 가장 최근에 재선충 오염목이 발견된 남양주시와 30여㎞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산림 당국은 ‘인위적 오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가구를 옮길 때 보호대로 쓰는 팰릿의 소재가 잣나무여서, 오염된 잣나무가 팰릿으로 쓰이면서 재선충도 옮겨졌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번에 감염목이 발견된 지역은 인적이 없는 곳이어서 이런 설명도 들어맞지 않는다. 정확한 감염 경로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것이다.
"
» 재선충 피해 시·군·구
수간주사 시기도 놓쳐=재선충 예방을 위해 나무에 수간주사를 놓는 적기는 보통 11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여서 지금은 시기를 놓친 상태라는 점도 산림 당국의 고민을 더하고 있다. 5월이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이 성충이 되어 나오는데, 지금 잣나무와 소나무에 수간주사를 해봐야 약효를 거둘 수 없는 상황이다.
산림청 오기표 산림병해충방제팀장은 “항공방제를 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을 잡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 쌍이 한 달에 20여만마리로 불어날 만큼 왕성하게 증식하는 재선충의 확산을 항공방제만으로 막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재선충 대란 오나=이 때문에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가 깨어나는 5월이 재선충 확산의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는 게 산림 당국의 예상이다. 경기도 최형근 농정국장은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가 5월에 유충에서 성충으로 바뀐다”며 “4월3일까지 모든 나무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해 4월 말까지는 완전 소각 처분해야 하는 중대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 15일부터 1만여명을 동원해 전체 시·군에서 감염목 전수조사에 나섰다. 시·군별로 감염목 1·2차 조사 책임자를 정하고 감염목이 조사에서 빠졌다가 나중에 발견되면 2그루 이하는 경고나 주의, 3∼5그루는 견책, 6그루 이상은 감봉 등으로 감염목 수에 따른 징계를 공언하는 등 재선충 확산을 막기 위한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포천 대전/홍용덕 송인걸 기자 ydhong@hani.co.kr
----------------------------------------------------------------------
재선충 한국서 1988년 발병
일, 100년만에 소나무 쑥대밭
우리나라의 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시작됐다. 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로 만든 어류 상자를 통해 선충이 상륙했다거나, 일본원숭이를 수입하면서 우리 바닥에 감염된 솔잎을 깐 게 유입 경로가 됐다는 설이 있을 뿐 경위가 명확하지는 않다.
재선충병이 세계적으로 처음 발생한 곳은 일본으로, 1905년 첫 감염 사례가 보고된 지 100년 만에 홋카이도를 뺀 대부분 산림이 ‘소나무 공동묘지’로 바뀌었다. 일본 산림당국은 해안지대와 공원 등 특수지역을 대상으로 한 방제 활동에 주력하면서 대체 수목으로 재선충병에 강한 리기다소나무 심기를 권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82년 난징 지역에서 재선충병이 발생해 약 8만㏊가 피해를 보았다. 중국 당국은 황산 등 소나무 생태가 우수한 지역의 주변을 ‘무송지역’으로 지정해 벌목함으로써 재선충 확산을 막고 있다. 대만은 1985년 5천㏊의 피해를 입었다.
산림과학원 신상철 산림병해충과장은 “미국,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르투갈, 멕시코 등지에서도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피해가 발생했으나 산림 대부분이 재선충에 저항성이 큰 수종으로 이뤄져 있어 큰 피해는 없었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재선충이란?
재선충 0.6~1㎜ 크기에 실처럼 생겼다. 소나무류인 육송, 해송, 잣나무 등에 침입해 물과 양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파괴해 고사시킨다. 재선충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붙어 이동한다. 매개충은 번데기를 거쳐 5~6월에 성충이 돼 어린 가지와 잎을 갉아먹는다. 재선충은 매개충이 번데기일 때 붙어 있다 성충이 돼 먹이를 먹으면서 나무에 낸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조각 마음을 받고 싶습니다 (0) | 2007.04.02 |
---|---|
살아 있는 모든 것은 무궁한 변화.... (0) | 2007.04.02 |
탐조(Birdwatching)안내인 아카데미 초급과정 (0) | 2007.03.22 |
이제 시작하셔야지요 (3) | 2007.03.19 |
청계산 개구리논이.... (0) | 2007.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