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꽃이름 알아보기
할미꽃: 딸의 집을 찾아다니던 할머니가 추위에 떨다 죽은 후 셋째 딸이 할머니를 묻
은 자리에 이 꽃이 피어서, 혹은 열매의 모습이 할머니 머리카락 모양과 비슷함.
홀아비꽃대: 꽃잎 없이 꽃술만 핀다고 해서, 혹은 한 개의 꽃 이삭이 촛대같이 홀로
서 있기 때문임.
애기똥풀: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노란 액이 나오는데 이것이 애기 똥과 비슷함.
피나물: 가지를 자르면 피를 연상하게 하는 붉은 즙액이 흘러나옴.
피뿌리풀 : 뿌리를 뽑으면 끊긴 뿌리에서 나오는 즙이 피처럼 붉음.
상사화 : 꽃이 필 땐 잎이 없고, 잎이 필 땐 꽃이 없어 서로를 그리워함.
생강나무 : 잎이나 줄기를 문지르면 생강냄새가 남.
족두리: 꽃이 족두리처럼 생김.
괭이눈: 꽃이 고양이 눈처럼 생김.
강아지풀: 꽃과 이삭이 강아지 꼬리처럼 생김.
톱풀: 잎사귀가 톱날처럼 생김.
투구꽃: 꽃이 투구처럼 생김.
돌단풍: 잎 모양이 단풍잎과 비슷하고 돌이 많은 곳에서 자람.
양지꽃: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람.
돌나물: 바위틈에서 자람.
꽃이름 접두어로 짐작하기
꽃 이름은 접두어를 통해 꽃의 자생지, 색, 크기, 특징 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갯 : 해안이나 갯벌, 계곡, 냇가 등지에서 자라는 것(갯개미취, 갯메꽃, 갯방풍,
갯질경이)
▲골 :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는 것(골등골나물, 골사초)
▲구름 : 구름이 있는 높은 산지인 주로 백두산이나 북부 고원지대에서 자라거나 꽃이
나 잎들이 구름처럼 뭉쳐 피는 것(구름국화, 구름떡쑥, 구름송이풀, 구름체꽃,
구름패랭이, 구름사초)
▲두메 : 구름과 마찬가지로 역시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것, 백두산 같은 북부 고산지대
에 자라는 것(두메양귀비, 두메분취, 두메투구꽃, 두메고들빼기, 두메부추,
두메잔대)
▲벌 : 확 트인 벌판에서 자라는 것(벌개미취, 벌노랑이, 벌등골나무, 벌깨풀)
▲물 : 습기가 많은 곳이나 물가에 자라는 것(물매화, 물봉선,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돌 : 야생 혹은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것(돌단풍, 돌마타리, 돌바늘꽃, 돌양지꽃,
돌나물)
▲바위 : 바위에서 자라는 것(바위솔, 바위떡풀, 바위구절초, 바위채송화)
▲산 : 높은 산에서 자라는 것(산구절초, 산부추, 산수국, 산솜방망이, 산오이풀,
산괭이눈, 산골무꽃)
▲섬: 육지와 단절된 섬에서만 자라는 것, 대부분 울릉도 특산식물을 말하는 경우가
많음(섬초롱꽃, 섬백리향, 섬쑥부장이, 섬천남성, 섬기린초, 섬말나리, 섬쥐손이)
▲참 : 진짜라는 의미에서 유래(참나리, 참바위취, 참좁쌀풀, 참개별꽃)
▲나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
▲너도 : '나도'와 같은 의미로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개 : 기준으로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것에서 유래(개구릿대,
개쑥부장이, 개망초, 개여뀌, 개연꽃)
▲뱀 : 뱀과 관련이 있거나, 기준을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데서
유래(뱀무, 뱀딸기)
▲새 : 기준으로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다는 것에서 유래
(새콩, 새삼, 새머루)
▲가는 : 잎이 가는 데서 유래(가는잎구절초, 가는잎돌쩌귀, 가는장구채, 가는층층잔대)
▲가시 : 가시가 있는 데서 유래(가시여뀌, 가시연꽃, 가시엉겅퀴, 가시오갈피)
▲갈퀴 : 갈퀴가 있는 데서 유래(갈퀴나물, 갈퀴덩굴)
▲긴 :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데서 유래(긴담배풀, 긴병꽃풀, 긴산꼬리풀,
긴잎쓴풀, 긴오이풀)
▲끈끈이 : 끈끈한 즙액이 있는 데서 유래(끈끈이대나물, 끈끈이주걱, 끈끈이장구채)
▲선 : 줄기가 곧게 선 데서 유래(선괭이밥, 선이질풀, 선씀바귀, 선괭이눈)
▲우산 : 잎이 우산같이 생긴 데서 유래(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털 : 털이 있는 데서 유래(털동자꽃, 털머위, 털여뀌, 털중나리)
▲톱 : 톱모양으로 커치가 있는 데서 유래(톱잔대, 톱풀, 톱분취, 톱바위취)
▲금, 은 : 식물의 색이 금이나 은색인 데서 유래(금마타리, 금붓꽃, 금새우난초,
은난초, 은대난초)
▲광대 : 광대의 복장과 같이 울긋불긋한 데서 유래(광대수염, 광대나물, 광대버섯,
광대싸리)
▲각시 : 식물의 크기가 작은 데서 유래(각시붓꽃, 각시원추리, 각시취, 각시둥글레)
▲땅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혹은 꽃의 방향에서 유래(땅나리, 땅비싸리,
땅채송화, 땅빈대)
▲애기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애기나라, 애기현호색, 애기괭이눈,
애기원추리)
▲왜 :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지인 데서 유래(왜개연꽃, 왜솜다리, 왜현호색,
왜제비꽃, 왜당귀)
▲좀 : 키가 작은 데서 유래(좀고추나물, 좀꿩의다리, 좀붓꽃, 좀가지풀)
▲병아리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병아리풀, 병아리난초, 병아리다리)
▲큰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큰구슬봉이, 큰까치수영, 큰꽃으아리, 큰복주머니란
(광릉요강꽃), 큰앵초)
▲왕 : 키가 큰 데서 유래(왕고들빼기, 왕제비꽃, 왕원추리, 왕별꽃, 왕갈대)
▲참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참꿩의다리, 참좁쌀풀, 참나리, 참당귀)
▲말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말나리, 말냉이, 말냉이장구채)
▲수리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수리취)
▲선 : 식물이 직립해 있는 데서 유래(선가래, 선괭이눈, 선갈퀴, 선괭이밥)
▲눈 : 식물이 누워 있는 데서 유래(눈개승마, 눈개쑥부장이, 눈양지꽃, 눈범꼬리)
할미꽃: 딸의 집을 찾아다니던 할머니가 추위에 떨다 죽은 후 셋째 딸이 할머니를 묻
은 자리에 이 꽃이 피어서, 혹은 열매의 모습이 할머니 머리카락 모양과 비슷함.
홀아비꽃대: 꽃잎 없이 꽃술만 핀다고 해서, 혹은 한 개의 꽃 이삭이 촛대같이 홀로
서 있기 때문임.
애기똥풀: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노란 액이 나오는데 이것이 애기 똥과 비슷함.
피나물: 가지를 자르면 피를 연상하게 하는 붉은 즙액이 흘러나옴.
피뿌리풀 : 뿌리를 뽑으면 끊긴 뿌리에서 나오는 즙이 피처럼 붉음.
상사화 : 꽃이 필 땐 잎이 없고, 잎이 필 땐 꽃이 없어 서로를 그리워함.
생강나무 : 잎이나 줄기를 문지르면 생강냄새가 남.
족두리: 꽃이 족두리처럼 생김.
괭이눈: 꽃이 고양이 눈처럼 생김.
강아지풀: 꽃과 이삭이 강아지 꼬리처럼 생김.
톱풀: 잎사귀가 톱날처럼 생김.
투구꽃: 꽃이 투구처럼 생김.
돌단풍: 잎 모양이 단풍잎과 비슷하고 돌이 많은 곳에서 자람.
양지꽃: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람.
돌나물: 바위틈에서 자람.
꽃이름 접두어로 짐작하기
꽃 이름은 접두어를 통해 꽃의 자생지, 색, 크기, 특징 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갯 : 해안이나 갯벌, 계곡, 냇가 등지에서 자라는 것(갯개미취, 갯메꽃, 갯방풍,
갯질경이)
▲골 :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는 것(골등골나물, 골사초)
▲구름 : 구름이 있는 높은 산지인 주로 백두산이나 북부 고원지대에서 자라거나 꽃이
나 잎들이 구름처럼 뭉쳐 피는 것(구름국화, 구름떡쑥, 구름송이풀, 구름체꽃,
구름패랭이, 구름사초)
▲두메 : 구름과 마찬가지로 역시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것, 백두산 같은 북부 고산지대
에 자라는 것(두메양귀비, 두메분취, 두메투구꽃, 두메고들빼기, 두메부추,
두메잔대)
▲벌 : 확 트인 벌판에서 자라는 것(벌개미취, 벌노랑이, 벌등골나무, 벌깨풀)
▲물 : 습기가 많은 곳이나 물가에 자라는 것(물매화, 물봉선,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돌 : 야생 혹은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것(돌단풍, 돌마타리, 돌바늘꽃, 돌양지꽃,
돌나물)
▲바위 : 바위에서 자라는 것(바위솔, 바위떡풀, 바위구절초, 바위채송화)
▲산 : 높은 산에서 자라는 것(산구절초, 산부추, 산수국, 산솜방망이, 산오이풀,
산괭이눈, 산골무꽃)
▲섬: 육지와 단절된 섬에서만 자라는 것, 대부분 울릉도 특산식물을 말하는 경우가
많음(섬초롱꽃, 섬백리향, 섬쑥부장이, 섬천남성, 섬기린초, 섬말나리, 섬쥐손이)
▲참 : 진짜라는 의미에서 유래(참나리, 참바위취, 참좁쌀풀, 참개별꽃)
▲나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
▲너도 : '나도'와 같은 의미로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개 : 기준으로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것에서 유래(개구릿대,
개쑥부장이, 개망초, 개여뀌, 개연꽃)
▲뱀 : 뱀과 관련이 있거나, 기준을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데서
유래(뱀무, 뱀딸기)
▲새 : 기준으로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다는 것에서 유래
(새콩, 새삼, 새머루)
▲가는 : 잎이 가는 데서 유래(가는잎구절초, 가는잎돌쩌귀, 가는장구채, 가는층층잔대)
▲가시 : 가시가 있는 데서 유래(가시여뀌, 가시연꽃, 가시엉겅퀴, 가시오갈피)
▲갈퀴 : 갈퀴가 있는 데서 유래(갈퀴나물, 갈퀴덩굴)
▲긴 :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데서 유래(긴담배풀, 긴병꽃풀, 긴산꼬리풀,
긴잎쓴풀, 긴오이풀)
▲끈끈이 : 끈끈한 즙액이 있는 데서 유래(끈끈이대나물, 끈끈이주걱, 끈끈이장구채)
▲선 : 줄기가 곧게 선 데서 유래(선괭이밥, 선이질풀, 선씀바귀, 선괭이눈)
▲우산 : 잎이 우산같이 생긴 데서 유래(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털 : 털이 있는 데서 유래(털동자꽃, 털머위, 털여뀌, 털중나리)
▲톱 : 톱모양으로 커치가 있는 데서 유래(톱잔대, 톱풀, 톱분취, 톱바위취)
▲금, 은 : 식물의 색이 금이나 은색인 데서 유래(금마타리, 금붓꽃, 금새우난초,
은난초, 은대난초)
▲광대 : 광대의 복장과 같이 울긋불긋한 데서 유래(광대수염, 광대나물, 광대버섯,
광대싸리)
▲각시 : 식물의 크기가 작은 데서 유래(각시붓꽃, 각시원추리, 각시취, 각시둥글레)
▲땅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혹은 꽃의 방향에서 유래(땅나리, 땅비싸리,
땅채송화, 땅빈대)
▲애기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애기나라, 애기현호색, 애기괭이눈,
애기원추리)
▲왜 :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지인 데서 유래(왜개연꽃, 왜솜다리, 왜현호색,
왜제비꽃, 왜당귀)
▲좀 : 키가 작은 데서 유래(좀고추나물, 좀꿩의다리, 좀붓꽃, 좀가지풀)
▲병아리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병아리풀, 병아리난초, 병아리다리)
▲큰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큰구슬봉이, 큰까치수영, 큰꽃으아리, 큰복주머니란
(광릉요강꽃), 큰앵초)
▲왕 : 키가 큰 데서 유래(왕고들빼기, 왕제비꽃, 왕원추리, 왕별꽃, 왕갈대)
▲참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참꿩의다리, 참좁쌀풀, 참나리, 참당귀)
▲말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말나리, 말냉이, 말냉이장구채)
▲수리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수리취)
▲선 : 식물이 직립해 있는 데서 유래(선가래, 선괭이눈, 선갈퀴, 선괭이밥)
▲눈 : 식물이 누워 있는 데서 유래(눈개승마, 눈개쑥부장이, 눈양지꽃, 눈범꼬리)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많은 저를 용서 하시고..... (0) | 2006.03.15 |
---|---|
생태학교 청소하는 날 (1) | 2006.03.14 |
두꺼비생태학교 3월 행사 안내 (3) | 2006.03.10 |
3/5일 청계산 개구리논을 다녀와서.... (2) | 2006.03.10 |
[주말농장] 2006년 함께 할 가족 신청받습니다. (0) | 2006.03.08 |